집 안 서랍장 속 혹은 베란다 구석 어딘가에 방치되어 있는 약 봉투 하나씩 가지고 계실 텐데요. 언제 샀는지도 모를 만큼 오래되었거나 겉보기엔 멀쩡하지만 복용해도 되는지 의심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마다 항상 드는 생각이 바로 ‘약인데 설마 독하겠어?’ 인데요. 유통기한 지난 약들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약의 유통기한
제약사들은 약의 유통기한을 제조 후 2~3년 이내로 정합니다. 2~3년으로 정하는 이유는, 이 기간 동안 약효가 90~105% 이상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은박 포장지나 용기에 밀봉된 약이 공기와 접촉한다면, 그 약은 공기에 포함된 세균, 미생물, 그리고 먼지에 감염됩니다. 그리고, 그 약의 유통기한은 제약회사가 정한 유통기한보다 단축됩니다. 단축된 유통기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 | 약 유통기한 |
알약 | 1년 |
약국 반투명 봉지에 담긴 알약 | 2개월 |
가루약 | 1개월 |
연고 | 6개월 |
시럽약 | 1개월 |
일회용 인공눈물 | 1일 |
안약 | 1개월 |
유통기한 지난 약 먹어도 괜찮을까요?
의약품의 유통기한이 지나면, 약에 내성균이나 의도하지 않은 독성물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거나, 독성물질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 지난 약 부작용 다음과 같습니다.
- 복통
- 두드러기
- 신장 손상
- 매스꺼움
- 구토
- 설사
참고:
- 유통기한 확인이 어렵다면, 일부 약을 제외하고 1년까지 먹어도 괜찮습니다.
유통기한 지난 약 버리는 방법
부작용을 피하려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복용하지 않고, 과감하게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귀찮다고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쓰레기통, 하수구, 또는 변기에 버려서는 안 됩니다.
그 이유는 약의 성분이 토양과 하수를 오염시키고 생태계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제대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인근 약국, 보건소, 주민센터 등에 위치한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운전 면허증 재발급 이렇게 쉽다고요?" 운전 면허증 재발급 절차 알아보기
"부동산 사기 이것만 기억하면 걱정 NO" 알아두면 좋은 생활 법률 가이드
모르면 손해보는 유용한 정보를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클릭 📌
✅ 밑의 ❤ 공감버튼을 누르면 작성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꿈 꾸면 큰 돈이 들어오고 행운이 찾아옵니다!!!" 꿈 해몽 알아보기 (0) | 2022.11.16 |
---|---|
"안좋은 꿈 아닐까..? 교통사고 꿈 해몽해 드릴게요!" 교통사고 꿈 해몽 (0) | 2022.11.16 |
"이거면 신분증 잃어버려도 끄떡 없네요" 모바일 운전 면허증 발급 절차 알아보기 (0) | 2022.11.12 |
"운전 면허증 재발급 이렇게 쉽다구요?" 운전 면허증 재발급 절차 알아보기 (0) | 2022.11.12 |
"곰팡이 조금 피었던 쌀 먹어도 될까요?" 곰팡이 핀 쌀의 정보 알아보기 (0) | 2022.11.12 |
댓글0